신규간호사도 이해할 수 있게 만든 담관염 (시술 및 이미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2:28
본문
Download : 신규간호사도 이해할 수 있게 만든 담.hwp
1. 담관염(Cholangitis) 2. 담즙의 역할 3. 원인 4. 임상증상 5. 진단 1) 영상학적 진단 2) 혈액검사 3) 다른질환과의 감별진단 6. 치료 1) 금식 2) 수액요법 3) 항생제 주사 4) 내시경 역행성췌담도 조영술(ERCP) 5) 경피적 담즙배액술(PTBD) 7. PTBD 적응증 8. PTBD 간호 9. PTBD 합병증 10. 간호 11. 예방
설명
3) 항생제 주사
순서
담즙의 역할
담관은 위치에 따라 직경이 다양하며, 간의 내부 작은 담관인 간 내 담관(Hepatic duct)에서 시작하여 굵은 담관으로 합류 간의 외부인 총담관(Common bile duct)을 연결되어 내려와 췌장두부를 통과 및 췌관(Pancreatic duct)과 합쳐지고 바터 팽대부(Ampullar of vater)를 통해 십이지장(Duodenum)과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있따
1) 금식
일반적인 담관염은 급성 담관염을 의미하며, 심한 경우 혈압저하, 의식저하를 동반한 패혈증이 나타나 사망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응급질환이다.
2. 담즙의 역할
10. 간호
11. 예방
담즙은 영양소 흡수하는 데 중요한 소화액이며, 간에서 콜레스테롤의 배설 및 해독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혈액검사
레포트 > 의학계열
성분(成分)은 90%가 수분이며 이외에 3종류의 지방으로 콜레스테롤(4%), 인지질(24%), 담즙산(72%) 등이 있따
6. 치료
4. 임상증상
3) 다른질환과의 감별진단
담관염(Cholangitis)
1) 간에서 분비되는 담즙의 양은 하루에 약 500-1,000 ml정도이며, 담즙에 있는 담즙산은 음식물 속에 포함된 지방과 물을 잘 섞이게 하는 역할을 하여 지방의 소화와 흡수를 도와준다.
다. 5) 경피적 담즙배액술(PTBD)
2) 수액요법
신규간호사도 이해할 수 있게 만든 담관염 (시술 및 이미지)
8. PTBD 간호
담관염,담석,총담관,PTBD,ERCP,담즙,패혈증,PTGBD
5. 진단
2) 담즙은 지방의 소화뿐 아니라 콜레스테롤을 직접 배출 또는 담즙산으로 전환하여 인체 내 과다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4) 내시경 역행성췌담도 조영술(ERCP)
7. PTBD adaptation(적응) 증
9. PTBD 합병증
1) 영상학적 진단
서론 : 담즙은 정상 상태에서는 무균이나 담관염에서 담관질환의 원인(原因) 또는 결과에 의하여 다양한 세균들이 관여하며, 세균이 담관 내에 들어오는 경로는 십이지장에서 담관으로 상행성 감염을 일으키는 것이 가장 흔하고, 다른 경로로 문맥혈의 세균이 담관 내로 들어오기도 한다.
1. 담관염(Cholangitis)
Download : 신규간호사도 이해할 수 있게 만든 담.hwp( 85 )





폐쇄성 담관질환에서 내시경적역행성담췌관조영술(ERCP)을 시행하는 것도 시술과 관련되어 담즙 내 세균이 들어갈 수 있고 담관염을 유발하는 원인(原因)이 되기도 한다.
3. 요인
담관계통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담낭 중심으로 일어나면 담낭염, 담관을 중심으로 일어나면 담관염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