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학술논문 작성 가이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5 06:03
본문
Download : 학술논문 작성 가이드.hwp
다른 학자들의 선행연구들을 충분히
검토한 연후에 자신의 주장을 말해야 한다.
6. 결론: 연구결과의 요약, 함의, 및 한계점
- 이 논문에서 자신이 말하고자 한 바가 무엇이었는지 간략히 요약정리(arrangement)한다. 충분히 설명(說明)해주어야 한다.
논문을 쓰기 전에 무엇에 대해 쓸 것인지 많이 생각할 필요가 있다
사회현상에 대하여 늘 `왜?`라는 의문을 제기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한다.
또한 이 논문이 학술적 그리고 실제 정책적으로 어떤 함의(implication)를
…(투비컨티뉴드 )
다. (4)에서 제시된 모델,理論(이론)의 시각에서 分析(분석)되어야 한다.
기존의 연구일수도 있고 자신의 독창적 모델을 주장할 수도 있다
5. 分析(분석)틀에 입각한 설명(說明): 설정된 理論(이론)적 시각에서 연구문제에 대한 설명(說明), 답변 제시.
- 앞에서 제시한 모델,理論(이론)에 입각하여 자신이 제기한 문제에 대해 分析(분석)하고
설명(說明)한다. (1)에서 제시한 `왜 ...?`라는 질문에 `왜냐하면 ...때문`이라는
식으로 설명(說明)함으로써 `인과관계`를 밝혀준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1. 문제의 제기 (Research Question):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 질문은?
1. 문제의 제기 (Research Question):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 질문은? - 연구주제(질문)를 잘 잡으면... , 학술논문 작성 가이드인문사회레포트 ,



- 연구주제(질문)를 잘 잡으면...
Download : 학술논문 작성 가이드.hwp( 77 )
학술논문 작성 가이드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1. 문제의 제기 (Research Question):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 질문은?
- 연구주제(질문)를 잘 잡으면 논문의 반을 완성한 것이나 다름 없다.
2. 배경설명(說明): 논문주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황배경을 사실적으로 기술.
- 독자는 이 주제에 대해 별로 아는 바가 없다.
3. 기존 理論(이론)들의 검토: 이 주제에 대한 기존의 시각들은? 상대적 타당성은?
- 학문의 세계에 독불장군은 곤란하다.
4. 分析(분석)을 위한 정이 틀, 모델, 理論(이론): 이 질문을 다루는 데 가장 적합한 理論(이론)적 시각은?
- 자신이 제기한 문제를 가장 잘 설명(說明)할 수 있는 理論(이론)이나 모델을 제시한다. 이때 단순히 신문기사 식의
서술은 곤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