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이황의 사상과 이이의 사상의 대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5 11:36
본문
Download : [교양]이황의 사상과 이이의 사상의 대조.hwp
즉, 퇴계는 이가 무위하다는 것을 극복하고 이의 성격을 능산적 실제성의 문제로 확장시킨 것이다.
②율곡의 사상적 지향성과 인간 : 율곡 사상에는 자연론적 관점이 중요하게 반영되어 있으며, 경세론적 입장도 뚜렷이 부각되어 있따 율곡사상에서 인간의 문제는 어떠한 위치인가?
퇴계와 마찬가지로 율곡도 인간학적인 문제를 중심에 두고 자연과 우주의 문제를 해석하여 했다는 점에서 인간문제가 중요한 거점이었음은 동일하다. 인간을 윤리적 존재로 규정하고 절대규범인 리를 중시하여 인간됨의 문제를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삼았다. 그것은 바로 퇴계 자신의 인간됨에 대한 의지의 반영인 것이다. (위기지학) 퇴계가 심학을 강조한 것은 인간의 주관적 내면성의 문제에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일것이다 퇴계가 주리론적 관점에서 인간과 세계를 이해한 것은 가치론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퇴계에게서 부각되는 것은 `理動`의 관념이다. 퇴계와 율곡모두 인간됨을 지향하는 위기지학으로 학문을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상적 공통분모를 발견할 수 있따 다만 율곡은 인간 심성의 윤리적 의미를 사회구조의 윤리성과 관련시켜 이해했다는 것이다. 퇴계는 리와 기의 속성을 거론하면서 리를 실천하는데 주력하고, 그 가운데 기를 함양하고자 하는 자가 성인이라 말한다. 인간을 윤리적 존재로 규정하고 절대규범인 리를 중시하여 인간됨의 문제를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삼았다.
레포트/인문사회
이황의 사상과 이이의 사상의 대조
1. 퇴계·율곡의 사상적 지향상과 인간
①퇴계의 사상적 지향성과 인간 : 퇴계학의 본질은 주자학의 다양한 범주 중에서 심성론적인 사칠론이나 인심도심론등 수위 인각학적인 측면에 깊이 천착한 것이 특징이다. 그것은 바로 퇴계 자신의 인간됨에 대한 의지의 반영인 것이다.
2. 理, 氣
퇴계 이기론의 特性은 理氣不雜, 理發, 理動, 理貴氣賤 등으로 요약될 수 있따 즉 퇴계는 리와 기를 대립적인 성격으로 규정하고 있따 이는 이와 기를 존재론적으로 이해하는 측면보다 당위론적, 가치론적 관점에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②율곡의 사상적 지향성과 인간 : 율곡 사상에는 자연론적 관점이 중요하게 반영되어 있으며, 경세론적 입장도 뚜렷이 부각되어 있따 율곡사상에서 인간의 문제는 어떠한 위치인가
퇴계와 마찬가지로 율곡도 인간학적인 문제를 중심에 두고 자연과 우주의 문제를 해석하여 했다는 점에서 인간...
이황의 사상과 이이의 사상의 대조
1. 퇴계·율곡의 사상적 지향상과 인간
①퇴계의 사상적 지향성과 인간 : 퇴계학의 본질은 주자학의 다양한 범주 중에서 심성론적인 사칠론이나 인심도심론등 수위 인각학적인 측면에 깊이 천착한 것이 특징이다. 리에 정통성과 능동성을 부여했다는 것은 기의 의미를 소극적으로 강조하는 것이 된다 퇴계가 사단과 칠정…(To be continued )
설명
[교양]이황의 사상과 이이의 사상의 대조 , [교양]이황의 사상과 이이의 사상의 대조인문사회레포트 , 교양 이황 사상과 사상 대조
![[교양]이황의%20사상과%20이이의%20사상의%20대조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C%9D%B4%ED%99%A9%EC%9D%98%20%EC%82%AC%EC%83%81%EA%B3%BC%20%EC%9D%B4%EC%9D%B4%EC%9D%98%20%EC%82%AC%EC%83%81%EC%9D%98%20%EB%8C%80%EC%A1%B0_hwp_01.gif)
![[교양]이황의%20사상과%20이이의%20사상의%20대조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C%9D%B4%ED%99%A9%EC%9D%98%20%EC%82%AC%EC%83%81%EA%B3%BC%20%EC%9D%B4%EC%9D%B4%EC%9D%98%20%EC%82%AC%EC%83%81%EC%9D%98%20%EB%8C%80%EC%A1%B0_hwp_02.gif)
![[교양]이황의%20사상과%20이이의%20사상의%20대조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6%91%5D%EC%9D%B4%ED%99%A9%EC%9D%98%20%EC%82%AC%EC%83%81%EA%B3%BC%20%EC%9D%B4%EC%9D%B4%EC%9D%98%20%EC%82%AC%EC%83%81%EC%9D%98%20%EB%8C%80%EC%A1%B0_hwp_03.gif)
교양,이황,사상과,사상,대조,인문사회,레포트
[교양]이황의 사상과 이이의 사상의 대조
Download : [교양]이황의 사상과 이이의 사상의 대조.hwp( 19 )
[교양]이황의 사상과 이이의 사상의 대조
순서
다. (위기지학) 퇴계가 심학을 강조한 것은 인간의 주관적 내면성의 문제에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일것이다 퇴계가 주리론적 관점에서 인간과 세계를 이해한 것은 가치론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